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의학

MPN-Myeloproliferative neoplasm

by DrJin 2023. 4. 1.
반응형

MPN에 속하는 각 질환들과 진단기준을 간략하게 알아보자.

 

Myeloproliferative neoplasms
MPN(Myeloproliferative neoplasms)

1)    MPN “CML과 친구들로 생각하면 큰 그림을 잡기가 수월하다.

CMLBCR::ABL1 fusion gene t(9;22)(q34;q11) 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2)    CMLCP(Chronic phase), BP(Blast phase) 두 가지 상태가 있다.

(5th WHO classification-새로 개정된 WHO 진단기준부터 AP가 삭제되어 BP, CP 두가지 상태만 남게 되었다.)

  • CML의 BP 진단기준

(1)   20% myeloid blasts in blood or bone marrow

Or

(2)   Presence of an extramedullary proliferation of blasts

Or

(3)   Presence of increased lymphoblasts in peripheral blood or bone marrow

(lymphoblast의 cutoff는 정해지지 않음)

 

  • 전체 BP case의 20~30%에서 lymphoblast가 나타나는데 대부분은 B-ALL로 진행한다

 

3)    BCR::ABL1-negative MPN 

  • PV (Polycythemia vera)와 ET (Essential thrombocythemia)의 진단기준

Diagnostic criteria of Polycythemia vera and Essential thrombocythemia
Diagnostic criteria of PV and ET

  • PMF의 진단기준

Diagnostic criteria of Primary myelofibrosis
Diagnostic criteria of PMF

(참고) LDH level의 경우 검사실마다 차이가 있어 일률적으로 정하기는 어렵다. 내가 근무하는 검사실의 경우 120~248 IU/L를 정상성인 범위로 보고 있다.

 

  • PV,ET,PMF의 예후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자.

PV와 ETAPBP로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다. PMFleukemic transformation으로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PVET보다는 흔하다. Leukemic-free survival 기간을 비교해 보면 fibrotic PMFprefibrortic PMF보다 짧다. 문장이 복잡한데 쉽게 말해 fibrotic PMF prefibrotic PMF보다 leukemia 가 더 잘 걸리고, 예후도 나쁘다는 의미로 보인다.

 

  • CNL (Chronic neutrophilic leukemia)의 진단기준은 간단하게 요약해 보았다. 더 자세한 기준은 WHO guideline을 참조하기 바란다.

(1)   Sustained peripheral neutrophilia (3 months)

WBC 25*109/L with 80% segmented neutrophils and bands

And

(2) bone marrow hypercellularity due to neutrophilic granulocyte proliferation

And

(3) hepatosplenomegaly

 

(참고) CSF3R mutation in CNL

전체 CNL cases 들의 60% 이상에서 CSF3R mutation을 보인다.

 

(참고) CNLplasma cell neoplasm 둘 다 neutrophilic leukaemoid reaction을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둘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bone marrow study, cytogenetic or molecular study 등이 필요하다.

이 내용에 대하여 4th WHO guideline에서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Persistent neutrophilia (3 months), splenomegaly, and no identifiable cause of reactive neutrophilia including absence of a plasma cell neoplasm or, if a plasma cell neoplasm is present, demonstration of clonality of myeloid cells by cytogenetic or molecular studies. (Table 2.02 Diagnositc criteria for CNL)

 

  • CEL (Chronic eosinophilic leukemia)의 진단기준

(1)   Sustaind hypereosinophilia  (eosinophil count 1.5*109/L , 4 weeks) (5th WHO 진단기준부터 6개월이 아닌 4주로 줄어듦)

And

(2) Addition of requirement for both clonality and abnormal bone marrow morphology (e.g., megakaryocytic or erythroid dysplasia)

*And

(3) increased blasts (2% in peripheral blood or 5-10% in bone marrow)

(참고) *CEL 진단기준에서 blast %가 사라짐. (5th WHO 진단기준 반영)

 

  • eosinophilia가 보일 때 고려할 수 있는 진단명들과 그 차이점들을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CEL, idiopathic HES (Hypereosinophilic syndrome)과 그 밖의 다른 질환들을 고려할 수 있겠다. Idiopathic HES persistent eosinophilia (eosinophil count 1.5*109/L, 6 months)를를 보이며 다른 원인을 배제했을 경우 진단할 수 있다.

  • eosinophilia의 지속기간이 CEL은 4주, HES의 6개월, 기준수치는 ≥ 1.5*109/L이라는 정도는 기억해 두면 좋겠다.
  • Eosinophilic disorder의 진단알고리즘으로 좋은 참고자료를 발견하였다. 아래 알고리즘을 참조해도 도움이 될 듯 하다.

 

Diagnostic and Treatment Algorithm of Eosinophilic Disorders
Diagnostic and Treatment Algorithm Based on Revised 2016 WHO Classification of Eosinophilic Disorders

  • JMML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의 진단기준

Diagnostic criteria of Juvenile myelomonocytic leukemia
Diagnostic criteria of JMML

4) MPN-NOS (MPN, not otherwise specified)

MPN 소견들이 관찰되지만 MPN 진단기준에는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 진단명을 줍니다.

 

References

Leukemia (2022) 36:1703 – 1719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of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IARC, 2017

Blood Cancer J. 2018 Feb; 8(2): 15.

American Journal of HematologyVolume 92, Issue 11 p. 1243-1259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