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과 의학

케토시스와 DKA-ketosis vs. diabetic ketoasidosis

by DrJin 2023. 7. 19.
반응형

케토시스와 DKA의 차이점, 공통점, 발생원인, 증상들, 검사들, 감별 질환 등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차이점

케토시스는 건강인에서 보이는 무해한, 전형적인 대사 과정이다. , 병적인 상태가 아니다. 하지만, DKA는 그렇지 않다. DKA는 제1형 당뇨병의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로 병적인 상태로 치료가 필요하다.

 

2. 공통점

케토시스와 DKA 둘 다 혈중 케톤 수치가 높아진다. 하지만, DKA는 혈중 포도당과 케톤 수치가 과도하게 높아 발생하는 의학적 응급상황이다

 

3. 발생원인

당뇨병과 알코올 섭취가 성인에서 케톤산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1) DKA

(1) 대체로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발생한다. 가령, 당뇨병 환자가 인슐린 투여 주기를 지키지 않거나, 적정량의 인슐린은 투여하지 않으면 DKA가 발생할 수 있다. DKA는 혈액을 산성화(acidic)하게 만들어, 간, 신장 등의 장기 기능을 손상시킬 수 있다.

(2) 1형 당뇨병은 몸에서 인슐린은 만들지 못하는 질환이다. DKA는 인슐린이 극도로 부족하여, 혈중 포도당과 케톤 수치가 매우 높아져 발생한다. 1형 당뇨병 환자가 DKA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2형 당뇨병 환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2) 케토시스

인체에 에너지로 사용할 탄수화물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대사 과정이다. 건강인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체내 반응이다.

 

a1

 

4. 대표적인 증상

1)  케토시스

대표적으로 구취를 유발할 수 있다. 케톤이 연료 공급원으로 사용되기 위해 분해되어 아세톤이 된다. 아세톤이 소변과 호흡을 통해 배설될 때 수치가 발생한다.

2)  케토산증(DKA)

(1)        심한 갈증

(2)        탈수

(3)        배뇨가 빈번하다.

(4)        메스꺼움과 구토

(5)        호흡곤란

(6)        이명 및 환각, 혼란

 

5. 대표적인 검사들

1) 건강한 성인에서 하룻밤 공복 후 혈청 beta-hydroxybutyrate 0.21~2.81 mg/dL (0.02~0.27 MMO/L)이다. DKA 환자의 혈청 beta-hydroxybutyrate 20mg/dL (2mmol/L) 이상이다.

2) 케톤체에는 3종류가 있다. 하지만 혈청과 소변에서 3종류의 케톤체 전부를 검출하는 검사법은 현재 없다. 3종류의 케톤체에는 acetone, acetoacetate, beta-hydroxybutyrate 가 있다.

3) 대부분의 소변 캐톤 검사는 acetoacetate만 검출하므로 증상과 모순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4) 혈중 케톤 농도에 항상 비례하여 소변으로 배설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제1형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조절을 감시하기 위하여 소변 케톤 검사가 자주 이용된다.

 

6.  감별 질환

1)         임신일 경우 아침 첫 소변의 약 3 0%에서 소변의 케톤체가 양성이다.

2)         Isopropyl alcohol 섭취나 salicylate 중독증(ex.아스피린 과다복용) 에서도 케톤산증이 나타난다.

반응형

'건강과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량검사장비의 예비평가-Preliminary Evaluation  (0) 2023.07.28
당뇨병  (0) 2023.07.24
키토제닉 다이어트- Ketogenic diet  (0) 2023.07.19
방탄 커피-Bulletproof coffee  (0) 2023.07.18
통풍-Gout  (0) 2023.07.12